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부석사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부석사

사찰소개 자연환경 역사 가람배치 문화재 인물 설화 안내
부석사의 설화
의상대사와 부석사
  • 선묘각 선묘도 선묘각 선묘도
  • 『송고승전(宋高僧傳)』에 따르면 의상대사의 속성은 박씨이며 계림부(鷄林府, 지금의 경주) 사람인데, 태어날 때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남다른 데가 있었는데, 성년이 되어 출가하여 산천에 노닐다가 불도에 들었으며 성품은 매우 천연덕스러웠다고 한다.
    의상대사는 일찍이 법을 구하러 원효 대사와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다. 국경에 이르러 폭풍이 심하여 마침 길가의 토굴 속에서 하루를 머물게 되었는데, 아침에 일어나 보니 그들은 옛 무덤의 해골 사이에 누워 있었다. 하늘은 비로 자욱하고 땅은 질어 이번에는 벽돌 굽는 곳에서 밤을 보내는데 채 밤이 깊어지기도 전에 갑자기 귀신들이 괴변을 부렸다. 원효스님이 탄식하며 이르기를
    ‘어젯밤에는 토굴 아닌 무덤에서 잠을 자도 편안했었는데 오늘밤에는 초저녁부터 도깨비굴이 있다 생각하니 탈이 많구나. 마음먹기에 따라 가지가지의 일이 생기는구나(一切唯心造). 차별하는 생각이 없어지니 토굴이건 무덤이건 다를 바 없지 않은가. 삼계(三界)가 오직 마음먹기 나름이요. 만법이 오직 생각 탓으로 생기는 것이라. 마음 밖에 따로 법이 없는 것을 무엇 때문에 법을 따로 구할 필요가 있겠는가. 나는 당나라에 가지 않겠노라.' 라고 하며, 원효스님은 유학을 포기하고 되돌아갔다.
  • 그러나 의상스님은 굳은 각오로 물러서지 않겠다고 하며 당나라로 향하는 상선(商船)을 탔고 669년 당나라 등주(登州) 해안에 도착하여 한 신도의 집에 머물렀다. 신도의 딸이었던 선묘(善妙)란 처녀는 의상대사를 보고 흠모하게 되었으나, 한번 출가하여 뜻한 바를 정한 대사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었다. 의상은 그 뒤 장안(長安)의 종남산(終南山)에 가서 지엄 삼장(智嚴三藏) 밑에서 『화엄경』을 배워 깨달음을 얻었다. 그 후 귀국 날짜를 정하고 등주에 있는 신도 집에 다시 들러 수년에 걸친 뒷바라지에 감사를 표하고 상선을 타고 신라로 귀국하게 되었다. 뒤늦게 대사의 출발을 알게 된 선묘는 대사에게 드릴 법복과 여러 가지 집기를 들고 해안가로 달려갔다. 그러나 대사가 탄 배는 이미 항구를 떠나 멀리 가고 있었다. 그녀는 기도를 올려,

  • 내 본래의 참뜻은 법사를 공양하는 데 있습니다. 원컨대 이 의복을 담은 함이 저 배에 날아 들어가기를 기원합니다.' 라고 하며 파도 위로 함을 던졌다. 때 마침 거센 질풍이 불더니 함은 새털같이 날라 배 위에 떨어졌다.

    선묘는 다시 맹세하기를,

    ‘이 몸이 큰 용(龍)으로 변하여 저 배의 선체와 노를 지키는 날개가 되어 대사님이 무사히 본국에 돌아가 법을 전할 수 있게 하리라.' 라고 하였다.
    의상스님은 본국에 되돌아온 후 불법을 펼치기 위해 고구려와 백제의 힘이 미치지 못하고, 말이나 소도 접근할 수 없는 곳을 찾았다. 마침내 봉황산 자락에서 그곳을 찾았으나 이미 500여명의 도적떼가 그 터를 차지하고 있었다.
  • 부석사 부석 부석사 부석
  • 그 때 의상을 항상 따라다니며 지키던 선묘용(善妙龍)은 대사의 생각을 알아차리고 커다란 바위로 변했다. 넓이와 깊이가 1리쯤 되는 바위가 날아다니며 위협하자 많은 무리들이 혼비백산하여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났다.

    그리하여 그 터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절이 부석사이다. 부석이라는 절 이름은 선묘가 변한 커다란 돌로 도적떼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지금도 무량수전 뒤에 커다란 바위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선묘의 화신이라고 전하며, 부석사 내 선묘각에서는 선묘를 기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