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마곡사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마곡사

사찰소개 자연환경 역사 가람배치 문화재 인물 설화 안내
마곡사의 인물
보조국사 지눌(普照國師 知訥, 1158~1210년)
  • 보조국사 지눌 보조국사 지눌 진영
  • 고려의 승려로 지눌은 법명이고 시호는 불일보조(佛日普照)이다. 고려 중기 마곡사를 중창하고 대가람을 이루었다고 한다.
    지눌은 8세 때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사굴산파(闍崛山派)에 속했던 종휘(宗暉)를 은사로 승려가 되었다. 이 시기는 교종과 선종의 대립이 극심하고 무신정변으로 인해 사회적 혼란기였다. 지눌은 1182년에 승과(僧科)에 급제한 후, 보제사(普濟寺)의 담선법회(談禪法會)에 모인 승려들과 함께 정혜결사(定慧結社)를 맺어 참선과 교학을 함께 수행할 것을 기약하였다.

    승과에 급제한 직후 나주 청량사(淸涼寺)에 머물면서 『육조단경(六祖壇經)』을 읽다가 첫 번째 깨달음을 얻었다. 『육조단경』은 중국 선종(禪宗)의 제6대 조사인 혜능(慧能)의 저서로 지눌은 그 뒤 평생 동안 혜능(慧能)을 스승으로 여겼다. 1185년 다시 경상북도 예천의 보문사(普門寺)로 옮겨 경전을 공부하던 중 『화엄경(華嚴經)』의 「여래출현품(如來出現品)」과 이통현(李通玄)의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에서 “선과 교가 다르지 않다[禪敎一元]”는 두 번째 깨달음을 얻었다. 그 뒤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을 저술하였고, 실천의 방면에서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을 제시하였다.

    1190년 그는 공산(公山, 지금의 팔공산) 거조사(居祖寺)로 가서, 이전의 담선법회에서 결사를 약속했던 동지를 모은 뒤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을 반포하였다. 1197년, 몇년만에 왕족 및 관리를 비롯하여 승려 수백 명이 결사에 참여하여 함께 수도를 하게 되었으나 결사정신이 잘 지켜지지 않자 거조암을 떠나 지리산(智異山) 상무주암(上無住庵)으로 은둔하여 홀로 수행하였다. 상무주암에서 『대혜어록(大慧語錄)』을 보다가 현실참여적인 보살행에 대한 세 번째 깨달음을 얻었다.

    1205년(희종 1) 송광산(松廣山) 길상사(吉祥寺, 현재 송광사)를 중창한 뒤, ‘조계산(曹溪山) 수선사(修禪社)’로 이름을 고치고 새롭게 결사를 시작하였다. 이후 수선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선풍을 일으키다가 1210년 나이 53세, 법랍 36세에 입적하였다. 국사(國師)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불일보조(佛日普照), 탑호(塔號)는 감로(甘露)이다.

    제자로는 천진(天眞), 확연(廓然), 수우, 인민(仁敏), 가혜(可慧), 혜심(慧諶) 등 수백 명이 있다. 저서로는 『권수정혜결사문』 1권, 『수심결(修心訣)』 1권, 『진심직설(眞心直說)』 1권,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1권, 『원돈성불론』 1권, 『화엄론절요(華嚴論節要)』 3권,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1권,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1권, 『염불요문(念佛要門)』 1권, 『상당록(上堂錄)』 1권, 『법어가송(法語歌頌)』 1권 등이 있다.
※ 자료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